본문 바로가기
언어와 매체/2단원. 언어

중세국어

by seong882215 2022. 12. 9.
728x90

ㅇ 세종어제 훈민정음

1. 훈민정음

1) 뜻 :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2) 창제자 : 세종대왕

3) 한글 창제 이전의 언어 생활

- 우리말을 적을 수 있는 고유의 문자가 없어 한자를 사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함

- 백성들이 한자를 몰라서 어려움을 겪음

4) 창제 목적

- 중국말과 다른 우리말을 효과적으로 표기하고자 함

- 한자를 모르는 백성들이 문자를 몰라 어려움을 겪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고 글자를 만듦

- 백성들이 쉽게 익혀서 편히 사용할 수 있는 글자를 만들고자 함

2. 세종어제 훈민정음에 나타나는 한글 창제 정신

1) 자주 정신

2) 애민, 창조 정신

3) 실용정신

3. 한글의 특성

1) 글자수가 적음

2) 체계적이고 과학적임

Tip. 기본원리만 알면 누구나 쉽게 익힐 수 있음

3)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소릿값을 가짐

4) 음절 단위로 모아씀

Tip. 다양한 글자 조합을 만들 수 있어 적은 수로 여러 의미를 표현할 수 있음

Tip. 독자가 의미를 빨리 이해할 수 있음


ㅇ 음운

1. 자음

- 경구개음이 존재하지 않음

- ㆆ은 훈민정은의 17자에 해당하나 실제 거의 쓰이지 않아 현실적은 음가가 없는 것으로 봄

- 실제 표기에 쓰인 자음으로 훈민정음 17자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을 추가할 수 있음

 
전청
(예사소리)
자청
(거센소리)
불청불탁
(유성음)
전탁
(된소리)
어금닛소리 (아음)
혓소리 (설음)
입술소리 (순음)
잇소리 (치음)
ㅅ, ㅈ
 
ㅆ, ㅉ
목구멍소리 (후음)
반혓소리 (반설음)
   
 
반잇소리 (반치음)
   
 

1) 상형의 원리 : 발음 기관을 본뜬 글자

2) 가획의 원리 : 기본자에 획을 더해 만든 글자

3) 이체자 : 기본자에 획을 더했으나 가회의 의미는 없는 예외적 글자

4) 병서

(1) 합용 병서 : 둘 이상의 같은 자음자를 가로로 나란히 쓴 글자

(2) 각자 병서 : 둘 이상의 다른 자음자를 가로로 나란히 쓴 글자

5) 연서 : 두 개의 자음자를 세로로 이어 쓴 글자

2. 모음

 
양성
음성
중성
기본자
초출자
ㅗ, ㅏ
ㅜ, ㅓ
 
재출자
ㅛ, ㅑ
ㅠ, ㅕ
 

1) 상형의 원리 : 하늘 땅 사람의 모습을 본 뜬 글자

2) 합성의 원리

(1) 초출자 : 아래아 하나와 ㅡ,ㅣ가 결합한 글자

(2) 재출자 : 아래아 하나와 초출자가 결합한 글자

3) 합용의 원리

(1) 초출자끼리, 제출자끼리 결합한 글자

(2) 기본자, 초출자, 재출자와 'ㅣ'가 결합한 글자

(3) 초출자, 재출차 끼리 결합한 글자에 다시 'ㅣ'가 결합함


ㅇ 성조

: 소리의 높낮이를 통하여 뜻을 분별하는 성조가 있었음

- 글자의 왼쪽에 방점을 찍어 표시함

- 평성 : 낮은 소리로 방점이 없음

- 거성 : 높은 소리로 방점이 1개임

- 상성 : 낮았다가 높아지는 소리로 방점이 2개임


ㅇ 음운변동

1. 모음조화가 잘 지켜짐

: 양성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

2. 구개음화현상이 일어나지 않음

3. 두음법칙이 일어나지 않음

4. 원순 모음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음


ㅇ 문법

1. 조사

주격조사
앞말이 자음으로 끝날 때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이 한자로 표시될 때
앞말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가 아닌 모음으로 끝날 때
앞말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인 모음으로 끝날 때
목적격조사
ᄋᆞᆯ
받침이 없는 체언에서 앞 음절의 모음이 양성 모음일 때
받침이 없는 체언에서 앞 음절의 모음이 양성 모음일 때
ᄅᆞᆯ
받침이 없는 체언에서 앞 음절의 모음이 양성 모음일 때
받침이 없는 체언에서 앞 음절의 모음이 음성 모음일 때
관형격조사
앞말이 높임의 대상(사람)일 때
앞말이 무정 체언(사물)일 때
ᄋᆡ
앞말이 유정 체언일 경우 앞 음절의 모음이 양성모음일 때
앞말이 유정 체언일 경우 앞 음절의 모음이 음성모음일 때

2. 체언

- 조사와 결합할 경우 'ㄱ'이나 'ㅎ'이 덧붙는 어휘가 존재함

3. 명사형 어미

: 명사형 어미는 '-옴/움'이 사용됨

Tip. 명사형 어미 '-기'는 근대국어에서 나타남

4. 높임 표현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으)시-, -샤-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
-ᄉᆞᆸ-, -ᄌᆞᆸ-, -ᅀᆞᆸ-
상대 높임 선어말 어미
-ᅌᅵ-, -ᅌᅵᆺ-

5. 시제 표현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 -더-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ᄂᆞ-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으)리-

6. 의문문

: 종결어미에 의해 실현됨

- 설명 의문문 : 구체적인 대답을 요구하는 의문문

- 판정 의문문 : '예/아니오'의 대답을 요구하는 의문문

1. 1,3 인칭 설명 의문문

: 'ㅗ' 계열의 어미

2. 1,3 인칭 판정 의문문

: 'ㅏ/ㅓ' 계열의 어미

3. 2인칭 의문문

: '-ㄴ다'

Tip. 2인칭은 설명의문문, 판정의문문 모두 '-ㄴ다'를 사용함


ㅇ 표기

1. 붙여쓰기

: 단어와 단어는 물론 문장과 문장까지도 붙여씀

2. 8종성법

: 종성에서 자음을 대표음(ㄱ,ㄴ,ㄷ,ㄹ,ㅁ,ㅂ,ㅇ)로 바꾸어 사용함

- 종성부용초성의 원칙에 따라 종성에는 초성에 썻던 자음자들을 다시 활용해 표기할 수 있었음

3.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 한자음을 중국 한자의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는 방식

1) 받침이 없는 글자는 음가가 없는 'ㅇ'을 형식상 받침으로 넣음

2) 중국에선 'ㄷ'으로 소리나나 우리말에서 'ㄹ'로 소리나는 경우 ㄹ 다음에 ㆆ을 넣었음

Tip.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는 큰 불편함이 있어 얼마 안 가 사라지게 되었음

4. 이어적기(연철)

: 기본형태를 밝히지 않고 소리대로 적음

728x90

'언어와 매체 > 2단원. 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화  (0) 2022.11.30
문법 요소의 활용 ② - 피동, 사동, 부정 표현  (0) 2022.11.30
문법 요소의 활용 ① - 높임, 시간 표현  (1) 2022.11.30
문장의 짜임  (1) 202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