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높임 표현
1. 상대높임
: 화자가 듣는 이에 맞추어 표현하는 방법(청자를 높이거나 낮춤)
- 종결어미에 의해 실현되며 격식체와 비격식체로 나뉨
- 격식체 : 공식적으로 청자와 다소 거리를 두고 예의를 갖추는 상황에서 쓰임
비격식체 : 사적이고 청자와 가까운 상황에서 친밀감을 나타내는 상황에서 쓰임
Tip. 높임의 단계
아주 높임 > 두루 높임 > 예사 높임 > 예사 낮춤 > 두루 낮춤 > 아주 낮춤
(하십시오체) (해요체) (하오체) (하게체) (해체) (해라체)
|
평서법
|
의문법
|
명령법
|
청유법
|
감탄법
|
|
격식체
|
하십시오체
|
-ㅂ니다/-습니다
|
-ㅂ니까/-습니까
|
-(으)십시오
|
-(으)시지요
|
|
하오체
|
-(으)오
|
-(으)오
|
-(으)오
|
-(으)ㅂ시다
|
-(는)구려
|
|
하게체
|
-네
|
-(느)ㄴ가
|
-게
|
-세
|
-(는)구먼
|
|
해라체
|
-(ㄴ/는)다
|
-(느)냐/-(으)니
|
-아라/-어라
|
-자
|
-(는)구나
|
|
비격식체
|
해요체
|
-아요/-어요
|
-아요/-어요
|
-아요/-어요
|
-아요/-어요
|
-아요/-어요
|
해체
|
-아/-어
|
-아/-어
|
-아/-어
|
-아/-어
|
-아/-어
|
2. 주체높임
: 주어가 가리키는 대상, 즉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지위가 높을 때 사용
- 서술어에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으)시'를 붙이거나 주격 조사 '-께서'를 통해 실현
Tip. 특수 어휘를 사용하기도 함
1) 직접 높임 : 말하는 이가 문장의 주체를 직접 높이는 방법
2) 간접 높임 : 높여야 할 대상의 신체 부분이나 소유물, 주체와 관련된 사물을 높이는 방법
Tip. 압존법
: 듣는 사람을 고려하여 높임의 대상인 주체를 높이지 않는 표현 방법
- 청자가 주체보다 저 높은 대상을 때는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으)시-'를 붙이지 않는다.
3. 객체 높임
: 목적어나 부사어,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
- 문장의 객체가 화자나 주체보다 나이나 지위가 높을 때 사용
- 높임의 의미를 지니는 특수어휘로 실현됨
- 부사격 조사 '-께'를 사용하기도 함
ㅇ 시간 표현
1. 시제
: 시간을 인위적으로 나눠 언어적으로 표현한 것
1) 발화시 : 어떤 문장을 화자가 말한 시점
2) 사건시 : 사건이나 강태가 일어나는 시점
2. 과거 시제
: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서 있는 시제
- 주로 과거시제 선어말 어미 을 통해 실현
Tip. 선어말 어미 '-았엇- / -었었-'
1) 현재와 과거 사건과의 단절감 존재
2) 상황이 바뀌었다는 의미 역시 함축됨
실현 방법
|
|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
|
선어말 어미 ‘-았-/-었-’
1) 일반적으로 과거시제
2) 완결된 상황의 지속
3) 미래 실현의 확신
|
선어말 어미 ‘-더-’
1) 화자가 과거의 경험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최상하여 전달하는 기능
2) 제약이 존재함
(1) 원칙적으로 화자가 경험한 것이어야 함
다만, 사진, 영상 등의 간접 경험은 '더'를 사용할 수 있음
(2) 기본적으로 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
다만, 주어가 1인칭이더라도 자신을 객관화시켜
제 3자의 행동처럼 관찰해 표현하면 1인칭 주어가
사용 가능함, 혹은 자기의 심리나 감각을 나타내는 형
용사의 경우 사용할 수 있음
|
|
동사
|
관형사형 어미 ‘-(으)ㄴ’
|
형용사, 서술격 조사
|
관형사형 어미 ‘-던’`
|
시간 부사어
|
어제, 옛날 등
|
3. 현재 시제
: 사건기와 발화시가 일치하는 시제
실현 방법
|
|
동사
|
선어말 어미 ‘-는-/-ㄴ-’
1) 일반적으로 현재시제
2) 미래 사실(미래에 예정된 일)
3) 보편적 진리
|
선어말 어미 ‘-는’
|
|
형용사, 서술격 조사
|
관형사형 어미 없음
|
관형사형 어미 ‘-(으)ㄴ’`
|
|
시간 부사어
|
오늘, 지금 등
|
4. 미래 시제
: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나중인 시제
1) 실현 방법
실현 방법
|
선어말 어니 ‘-겠’
1) 주로 미래 시제를 나타냄
2) 추측의 의미를 포함함
3) 가능성
4) 의지
Tip. 화자의 주관적 태도를 나타내기도 함
|
관형사형 어미 ‘(으)ㄹ
|
-(으)ㄹ 것
|
Tip. 선어말 어미 '-리-'를 통해 실현되기도 하지만, 제한된 어미와의 결합이 다소 옛스러워 현대국어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음
5. 절대 시제, 상대 시제
1) 절대 시제 : 발화시를 기준으로 하는 시제
2) 상대 시제 : 선행절이나 안긴 문장의 시제 (주문장의 사건시를 기준으로 결정됨)
6. 동작상
: 시간의 흐름 속에서 동작이 진행되고 있는지 완료된 것인지를 표현하는 방법
1) 진행상 : 동작이 일정한 시간 동안 계속 이어지는 모습
2) 완료상 : 동작이 끝났거나 그 동작의 결과가 지속되는 모습
|
종류
|
실현방법
|
진행상
|
보조 용언
|
-고 있다
|
-아/어 오다
|
||
-아/어 가다
|
||
연결 어미
|
-(으)면서
|
|
완료상
|
보조 용언
|
-아/어 버리다
|
-아/어 내다
|
||
-아/어 있다
|
||
연결 어미
|
-고서
|
Tip. 같은 형태라도 진행과 완료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가 있음 ex) 영희는 청바지를 입고 있다 - 영희는 청바지를 입는 중임 (진행)
- 영희는 청바지를 입고 다님 (완료)
Tip. 현재시제 '-는-'은 주로 진행상, 과거시제 '-았/었-'은 완료상으로 쓰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