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와 매체/2단원. 언어

문법 요소의 활용 ② - 피동, 사동, 부정 표현

by seong882215 2022. 11. 30.
728x90

ㅇ 피동표현과 사동표현

1. 피동 표현

1) 능동문 : 주어가 동작을 제 힘으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문장

2) 피동문 : 다른 주체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거나 영향을 받는 것을 나타내는 문장

- 능동문의 동작주인 주어가 피동문에서는 부사어로 나타남

- 능동문의 동작주인 주어가 피동문에서는 동작주로 드러나지 않음

3) 문법적 변화

(1) 주어 → 부사어

Tip. 피동문에서 부사어는 '에게, 에, 에 의해(서)'가 붙어 형성됨

Tip. 피동문처럼 동작주가 부사어로 바뀌면 동작상이 약화됨

(2) 목적어 → 주어

(3) 능동사 → 피동사

4) 실현 방법

종류
실현 방법
파생적 피동문
능동사의 어근에 피동 접미사 ‘–이, -히, -리, -기’가 결합
Tip. 피동 접미사가 붙어 피동사가 되는 능동사는 대부분 타동사의 형태
명사에 피동 접미사 ‘-되다’가 결합함
통사적 피동문
어(아)지다 : 주로 타동사에 붙어 쓰임
Tip. 자동사나 형용사에 붙어 사용하기도 함
게 되다 : 자동사, 타동사, 형용사에 붙어 쓰임
Tip. 의견이 분분하여 현재 학교 문법에서는 인정하나 빼는 경우도 많음

Tip. 의도성이 있으면 주로 통사적 피동문, 없으면 주로 파생적 피동문임

5) 피동문의 제약

(1) 피동문이 형성되기 어려운 능동문

- 능동문에서 목적어가 '무정명사'인 경우

(2) 대응되는 능동문 설정이 어려운 피동문 ex) 날씨가 풀렸다

- 행위의 동작주 설정이 어려움

2. 사동 표현

1) 주동문 : 주어가 동작을 직접 하는 것을 나타내는 문장

2) 사동문 : 주어가 남에게 동작을 하도록 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문장

Tip. 행동을 시키는 주체를 표현하여 사건의 결과가 외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했음을 나타낼 수 있음

3) 문법적 변화

(1) 주어 → 목적어

(2) 주동사 → 사동사

(3) 주동문에는 없음 → 새로운 주어

4) 실현방법

종류
실현 방법
파생적 사동문
주동사의 어근에 피동 접미사 ‘–이, -히, -리, -기, -우, -구, 추’가 결합
Tip. 모든 단어에서 사동사 파생이 가능한 것은 아님
명사에 사동 접미사 ‘-시키다’가 결합함
Tip. 일상생활에서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통사적 사동문
게 하다 : 자동사, 타동사, 형용사에 붙어 쓰임
Tip. 주동문의 주어가 부사어, 목적어, 주어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남

5) 파생적 사동과 통사적 사동의 구분

(1) 직접사동과 간접사동

- 직접사동 : 사동주가 피사동주의 행위에 함께 참여하는 경우

- 간접 사동 : 사동주가 피사동주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할 뿐 자신이 직접 그 행위에 참여하진 않음

Tip. 파생적 사동은 주로 직접사동이나 간접사동으로도 표현 가능, 통사적 사동은 간접사동으로만 해석

Tip. '읽히다, 웃기다, 울리다'는 간접사동만 가능

(2) 문장 구조의 차이

- 부사의 수식 범위

-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시-'의 쓰임

Tip. 파생적 사동문은 사동주를, 통사적 사동문은 사동주의 행위, 피사동주, 사동주와 피사동주를 높임

6) 사동문의 제약

(1) 관용구를 포함한 문장은 사동 형성이 불가함

(2) 대응되는 주동문 설정이 어려운 피동문이 존재함

- 피사동주가 무정명사나 추상명사일 경우 ex) 철수가 책을 책상 위에 올렸다

범인이 진실을 숨겼다

- 사동문의 특정 표현이 관용적으로 쓰임 ex) 철수는 그 이야기를 듣고 낯을 붉혔다

(3) 통사적 사동이 어려운 경우

- 피사동주가 무정 명사인 경우 표현이 어색함 ex)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유산을 남게 했다.


ㅇ 부정 표현

: 부정하는 내용을 문법적으로 실현한 문장을 부정문이라 함

 
짧은 부정문
(부정 부사로 실현)
긴 부정문
(부정 용언으로 실현)
의지 부정
(‘안’ 부정문)
부정 부사 ‘안’을 사용함
‘-지 않다’를 사용함
능력 부정
(‘못’ 부정문)
부정 부사 ‘못’을 사용함
‘-지 못하다’를 사용함

1. 안 부정문

1) 의지 부정 : 동작 추제의 의지나 의도를 나타냄

2) 단순 부정 : 객관적 상황이나 사실을 부정

3) '안' 부정문의 제약

- 서술어가 동사라 하더라도 주어가 무정명사인 경우 의지부정 불가

- 인지동사(알다, 깨닫다, 인식하다 등)은 '안' 부정문을 사용할 수 없음

 
의지부정
단순부정
동사
가능
가능
형용사
불가능
가능

2. 못 부정문

1) 능력 부정 : 동작 주체가 어떤 행위를 할 능력이 없거나 다른 외부의 원인 때문에 그 행위를 실행할 수 없는 것

2) '못' 부정문의 제약

- 주어가 무정물인 경우

- 서술어에 행위를 바랄 만한 성질이 아닌 경우

- 의도를 나타내는 표현

- 심리적 상태

- 완곡한 거절이나 강력한 거부

 
능력부정
동사
가능
형용사
불가능
Tip. 긴 부정문으로 쓰이면 ‘기대에 미치지 못함’이라는 의미로 성립 가능

3. 말다 부정문

- 긴 부정문 형식으로 명령문과 청유문에서 쓰임

- 예외적으로 희망 · 기원을 나타내는 서술어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

Tip. 이 경우 평서문, 형용사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

4. 부정표현의 중의성

: 부정의 범위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됨

1) 예시

A가 꽃을 안 샀다

(1) A가 아닌 다른 사람이 꽃을 샀다

(2) A가 꽃이 아닌 다른 것을 샀다

(3) A가 꽃을 산 것은 아니다(보기만 함)

2) 해소 방법

- 발화 시 강세를 표현

- 문장의 경우 보조사 '은/는'을 사용함

5. 이중 부정

: 한 문장 안에 부정 표현이 두 번 이상 사용된 경우

- 강한 긍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함

Tip. 단, 못 부정문은 이중 부정으로 사용할 수 없다

728x90

'언어와 매체 > 2단원. 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세국어  (1) 2022.12.09
담화  (0) 2022.11.30
문법 요소의 활용 ① - 높임, 시간 표현  (1) 2022.11.30
문장의 짜임  (1) 202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