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문장성분
1. 문장
: 생각이나 감정을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최소한의 형식
2. 문장성분
: 한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로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함
1) 주성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 문장을 이루는 데 필수적인 성분
2) 부속성분 (관형어, 부사어)
: 부속적인 성분으로 주성분에 딸려 있는 성분
Tip. 주로 주성분을 수식함
3) 독립성분
: 다른 문장 성분들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성분
3. 문장 성분 단위
1) 단어
: 뒤에 조사가 붙어서 문장성분이 되기도 하고, 그 자체로 문장 성분이 되기도 함
Tip. 조사는 체언에 붙어야하지만 분리성이 강해 단어로 인정한다.
2) 어절
: 띄어쓰기 단위로 보통 그 자체로 하나의 문장 성분으로 성립함
3) 구
: 2개 이상의 어절로 이루어진 단위
4) 절
: 하나의 덩어리가 되어서 한 품사처럼 기능하지만 그 안에는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갖추고 있는 단위
ㅇ 주어
: 문장에서 동작이나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성분
1. 특성
- 일반적으로 체언이나 체언의 기능을 하는 구나 절에 주격조사가 붙어서 나타남
- 주어에 결합하는 주격조사는 생략되기도 하고 보조사가 대신 쓰이가도 함
- 주격조사와 보조사가 함꼐 쓰이기도 함
- 주어가 생략된는 경우도 있음
- 주어가 둘 이상 나타나기도 함
ㅇ 서술어
: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 성질 등을 풀이하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1. 특성
- 동사, 형용사, 체언+이다 의 형태로 나타남
Tip. '체언 + 이다'에서 '-이다' 는 서술격 조사임
- 2개의 용언이 하나의 서술어를 이루기도 함
- 서술어가 생략되는 경우도 있음
2. 서술어의 자릿수
1) 한 자리 서술어 (자동사, 형용사)
2) 두자리 서술어 (자동사, 형용사, 타동사)
-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 주어 + 보어 + 서술어
- 주어 + 필수적 부사어 + 서술어
Tip. 대칭용언
: 주어 외에 주어의 짝이나 비교 대상, 판단 기준 등을 필요로하는 서술어
3) 세자리 서술어 (타동사)
- 주어 + 목적어 + 필수적 부사어 + 서술어
ㅇ 목적어
: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성분
1. 특성
- 체언이나 체언 기능을 하는 구나 절에 목적격 조사가 붙어서 나타남
- 목적어에 결합하는 목적격 조사는 생략되기도 하고 보조사가 대신 쓰이기도 함
- 목적격 조사와 보조사가 함께 쓰이기도 함
- 목적어가 둘 이상 나타나기도 함
Tip. 주로 두 번째 나오는 목적어가 첫 번째 목적어의 한 부분이거나, 그것의 한 종류, 수량 등을 나타냄
Tip. 목적격조사는 체언 뒤에 결합하며 대상의 의미를 가지나 보조사 '을/를'은 일부 부사나 조사, 연결어미와
ㅇ 보어
: 주어를 제외하고 '되다/아니다' 앞에 오는 이/가 가 붙은 문장 성분
1. 특성
- 체언이나 체언 기능을 하는 구나 절에 보격조사 '이/가'가 붙은 문장
- 보어에 결합하는 보격조사는 생략되기도 하고 보조사가 대ㅏ신 쓰이기도함
- 보격조사와 보조사가 함께 쓰이기도 함
ㅇ 관형어
: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1. 특성
- 여러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
관형사
|
관형사 그 자체로 관형어가 됨
|
체언 + 관형격 조사 ‘의’
|
체언에 관형격 조사 ‘의’가 붙어 만들어짐
|
용언의 관형사형
|
용언의 어간에 관형사형 어미 ‘-(으)ㄴ, -는, -(으)ㄹ, -던’ 이 붙어 만들어짐
|
- 관형어는 수의적 성분이기 때문에 관형어가 없어도 문장이 성립하는 경우가 많음
Tip. 단, 의존 명사 앞에 있는 관형어는 필수 성분임
- 관형어는 뒤에 오는 체언과 구를 이루어 하나의 문장 성분으로 기능하는 경우가 있음
ㅇ 부사어
: 용언이나 다른 말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1. 특성
- 여러가지 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음
부사
|
부사는 그 자체로 부사어가 됨
|
체언 + 부사격 조사
|
체언에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에게’ 등이 붙어 만들어짐
|
용언의 부사형
|
용언의 어간에 부사형 어미 ‘-게’ 등이 붙어 만들어짐
|
- 부사어 중에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사어도 존재함
- 때로는 관형어나 부사어, 문장 전체를 꾸미기도 함
성분 부사어
|
1. 문장 속의 특정 성분을 수식함
2. 주로 용언을 수식하나 관형어,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기도 함 |
문장 부사어
|
문장 전체를 수식함
|
접속 부사어
|
단어나 문장을 이어줌
|
ㅇ 독립어
: 어느 성분과도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 감탄사나 '체언 + 호격조사'의 형태로 나타남
- 제시어나 표제어가 독립어가 되기도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