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세포막의 특성
- 인지질 2중층으로 구성됨
- 이온을 투과 시키지 않음
Tip. 이온은 세포막에 있는 단백질을 통해서만 세포 안팎으로 이동함
- 나트륨이온, 칼륨이온, 염소 이온 등은 세포막의 투과성 차이에 따라 전위차가 발생함
ㅇ 통로와 펌프
1. 통로 (고농도 → 저농도)
: 어떤 물질의 농도 기울기에 따른 확산에 관여함
1) Na+통로
- 막전위에 따라 열리고 닫힘
2) K+통로
- K+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킴
- 일부는 항상 열려 있음
2. 펌프 (저농도 → 고농도)
: 어떤 물질의 농도 기울기에 역행하는 능동 수송에 관여함
1) Na+ - K+ 펌프
: Na+은 세포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동시킴
: K+은 세포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이동시킴
: 작동 과정에서 ATP가 소모됨
ㅇ 휴지전위
: 한 뉴런 안에서 일어나며 자극 분위에서 발생한 활동 전위가 이웃한 부분으로 전파되는 현상
Tip. 흥분의 전도는 자극을 받은 곳으로부터 양쪽으로 진행됨.
1. 분극 (휴지전위 ; 막전위 : 약 -70mV)
ㄴ 전하를 띠는 이온들의 분포 차이는 세포막을 경계로 전위차를 만드는데 이를 막전위라고 한다.
- 자극을 받기 전의 과정
- K+은 세포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확산되어 나감
- Na+는 세포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확산되어 나감
Tip. 나트륨 이온보다 칼륨이온의 확산 속도가 빠르다.
ㅇ 활동 전위

1. 탈분극 (활동전위 ; 막전위 : 약 +35mV)
- 뉴런이 자극을 받으면 세포막에 있는 Na+통로 일부가 열려 Na+이 세포 안으로 들어옴
- 막전위가 역치 전위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대부분의 Na+통로가 열려 Na+이 세포 안으로 들어옴
Tip. 역치 전위 : 자극에 대해 반응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자극의 세기
2. 재분극
- 탈분극이 분극으로 되돌아 가기까지의 과정
- Na+통로들이 닫히고 K+통로가 열림
3. 과분극 (막전위 ; 약 -80mV)
- 재분극이 일어날 때 막전위가 일시적으로 휴지 전위보다 더 내려가는 현상
- Na+통로와 K+통로들이 닫히고 Na+ - K+펌프에 의해 휴지전위가 회복됨